정부 창업지원사업에 매년 수천 명이 지원하지만, 최종 선정되는 비율은 약 10~20% 수준에 불과합니다. “내가 떨어진 이유가 뭘까?”, “아이템은 좋은데 왜 선정이 안 됐을까?” 고민해본 분들을 위해, 실제 탈락자 사례를 바탕으로 선정 실패 이유 5가지를 분석해드립니다.
이 글을 통해 2026년 창업지원금 도전에 앞서 반드시 피해야 할 실수를 미리 점검해보세요.
1. 추상적인 아이디어만 제시 (실행력 부족)
“헬스케어 앱을 만들고 싶다고 했는데, 실제로 구현된 화면이나 계획이 전혀 없었어요.” – 2025 예비창업패키지 탈락자 A씨
심사위원은 “할 수 있다”가 아닌 “이미 어느 정도 해봤다”를 원합니다. 시장 조사, 프로토타입, 고객 반응 등 구체적인 실행 증거가 없으면 아이디어만 있는 창업자로 평가됩니다.
2. 사업계획서 구조 미흡
일부 지원자는 템플릿을 복사한 듯한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거나, 핵심 정보가 누락된 상태로 접수해 감점 요인이 됩니다.
- 시장 분석 → 자료 없이 추정만 존재
- 자금 계획 → 전체 항목을 마케팅에만 배분
- 팀 구성 → 대표 외 인력이 전무하거나 설명 없음
계획서 자체가 당신의 사업의 얼굴
입니다. 심사위원이 '이 창업자는 준비되어 있다'고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.
3. 발표심사에서의 긴장 또는 전달 실패
“질문이 들어오자 얼버무렸어요. 사실 예상 질문 준비가 부족했죠.” – 청년창업사관학교 탈락자 B씨
서류에서 고득점을 받아도, 발표심사에서 핵심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면 탈락합니다. 전문용어 남발, 시간 초과, 눈치 보기 발표 등은 심사위원의 신뢰를 떨어뜨립니다.
4. 시장/수요에 대한 이해 부족
심사위원들은 “이 사업이 실제 시장에서 먹힐까?”를 가장 중요하게 봅니다. 이에 대한 증거 없이 단순 열정만 앞세운 경우는 시장성 부족으로 탈락합니다.
- 사전 고객 인터뷰 없음
- 시장 규모 근거 없는 수치만 제시
- 경쟁사 분석 누락
5. 공고문 미숙지 & 자격요건 미달
의외로 많은 분들이 **공고문을 제대로 읽지 않아 탈락**합니다.
- 신청 자격 기준 미충족 (예: 나이, 업력 등)
- 필수 제출서류 누락
- 양식 미준수
공고문은 단순한 안내가 아니라 심사 기준입니다.
단어 하나, 항목 하나를 놓치지 말고 꼼꼼히 읽어야 합니다.
마무리|탈락도 자산이다
정부 창업지원사업에서 떨어졌다고 낙담할 필요는 없습니다. 많은 최종 선정자들도 한 번 이상 탈락 후 재도전해 성공한 경우가 많습니다.
이번 글에서 소개한 실패 사례를 통해 스스로의 약점을 진단하고, 2026년에는 더 완성도 높은 계획과 전략으로 도전해보세요.
✔ 참고자료: